댓글 0개
웹으로 계통수(Phylogenetic Tree) 그리기쉽게 따라 하는 계통수 웹 구현 이번 블로그에서는 생물정보에서 자주 쓰이는 계통수를 웹으로 그리는 법에 대해 포...
댓글 0개
Introduction 다시 찾은 23회 ISMB, ECCB와 함께하다. ISCB(International Society for Computational Biology)에서 주최하는 ISMB(The 23rd Annual Internat...
댓글 0개
제가 살고 있는 곳 가까이에 두 곳의 유네스코 등재 문화유산이 있습니다. 이 두 곳은 모두 한 사람과 관련이 있는데, 드라마로도 많이 알려진 정조대왕이 그...
댓글 0개
RNA-seq(발현분석) 후 관심 있는 유전자 발현에 따른 증가/감소한 유전자들이 어떤 Pathway에 속하는지 알아보고자 할 경우 Pathway 맵핑을 통하여 확인할 수...
댓글 0개
“시퀀싱은 클리닉으로 이동 중” 분자진단 시장은 임상의학에서 유력한 플랫폼이 되고 있으며 진단 시장 중 급성장하고 있는 부문 중 하나이다. "글로벌 기...
댓글 0개
어느덧 22번째 ISMB2014하버드와 MIT로 유명한 미국의 대표적인 교육 도시, 랍스터의 천국, 미국 보스턴에서 생물정보학자들의 큰 축제, ISMB(International...
댓글 0개
Circos(http://circos.ca/)는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Perl 기반의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써 circular layout을 이용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양한 track과 plot...
댓글 0개
지난 4월, Computational and structural biotechnology 저널에서 Pathway Studio 9.0 외 다양한 생물학적 툴(DAVID, IPA등)을 이용한 파킨슨병 네트워크 뷰...